단 한줄이라도 매일의 나를 기록해보자.
요즘 MZ세대에서 유행인 MBTI. 그중 E 외향적 I 내향적 을 나누는 기준은 나의 에너지가 바깥을 향하느냐 나의 내면을 향하느냐의 차이다. 일반적으로 외향적인 사람들이 새로운 사람들과 쉽게 잘 어울리고 사회에 더 잘 녹아들며 그로인해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그래서 어린 시절 내향적인 사람들은 '내 성격에 문제가 있는게 아닐까.' 라는 고민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어른이 된 이제는 안다. 성격은 그냥 성향의 차이일 뿐 '잘못'된 것이 아니고 '다르다'는 것일 뿐. 그럼에도 같은 상황에서 유독 예민하게 반응하고 혼자 상처받고 빠르게 극복하지 못할 때면 본인의 성격에 문제가 있는게 아닐까, 고민하게 되는 것도 사실이다.
작은 일도 소위 쿨-하게 넘기지 못하고 마음에 담아두게 되고, 계속해서 자괴감이 들 때 일기를 써보는게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사람의 마음을
완전히 이해한다는 것,
나는 스스로도 가끔 "내 마음도 내가 온전히 모를 때가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서운하기는 한데 도대체 이게 왜 서운한건지 모르겠기도 하고, 화가나기도 하는데 나중에 돌아보면 그렇게까지 화낼 일이었나 싶은 것들.
사실 그런 부정적인 감정에 휩쌓일 때 가까운 사람에게 상황을 털어놓고 하소연을 하다보면 생각이 정리가 되어서 "아, 내가 이래서 서운했구나." 깨닫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나처럼 이런 가까운 이야기를 털어놓을 만한 상대가 적고 본인의 마음을 타인에게 보이는게 어려운 케이스라면 친구들과의 수다는 해결책이 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럴 때 좋은 방법은 일기를 쓰는 것이다.
오래 전에 부활의 김태원씨가 남자의 자격에 나와서 자신의 일기장을 공개한 적이 있는데 나는 그 일기장이 너무나도 인상깊었다.
별로 중요하지도 않은 것 같은 내용이 두줄 적혀 있는 그날의 일기장.
대한민국 어린이라면 누구나 초등학교 시절에 방학숙제로 일기장을 적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매일매일 적어야하지만 보통은 개학식 일주일 전쯤 흐릿한 기억을 되짚으며 반쯤은 창작으로 일기장을 채워나간 경험. 사실 그때의 경험 때문인지 나는 항상 일기장에 빈페이지를 두면 안될 것 같고 하루의 일과를 시간의 순서에 따라 차근차근 꼼꼼하게 적어내려가야한다는 선입견이 있었던 것 같다.
아버지의 일기 속에서 자신의 태어난 날의 기쁨과 환희를 목격한 뒤 재기할 수 있었고 그 뒤로 일기를 쓰기 시작했다는 김태원.
김태원씨의 부친처럼, 일기에는 그날 하루 사건에 대한 자세한 기록보다는 자신이 하루 종일 경험한 감정을 솔직하게 적어나가는 것이 더 좋다. 나중에 우리가 일기를 다시 읽어봤을 때, 더 중요한 것은 그때 내가 몇날 몇시에 어디서 무엇을 했는지 보다는 누구와 함께 했고, 그래서 내가 행복했는지 혹은 슬펐는지에 대한 감상일 것이다.
그날 하루 내가 어떤 일 때문에 무슨 감정을 느꼈고, 그 감정은 어떤 마음에서 비롯된 것일지 되돌아 보는 시간. 일기를 쓰는 하루 10분이 그날 하루 내 부정적인 기분을 정리하고 내일을 살아갈 수 있게 하는 작은 에너지를 줄 수 있다.
언제나 시작이 반이다.
처음 일기를 쓰기로 결정했다면 우리가 학창시절 많이 썼던 노트보다는 작은 수첩이나 다이어리/플래너를 추천한다. 우리가 흔히 플래너로 많이 사용하는 다이어리들은 하루 계획을 적을 수 있는 칸이 그리 크지 않다. 적당한 글씨로 5~6줄 정도 채워넣으면 꽉 차보이는 효과도 있고, 애초데 크기 자체가 작기 때문에 그 넓은 공간을 전부 채워야할 부담이 적다.
잘쓰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솔직하게 내 감정을 털어놓자. 세상에서 제일 친한 내 사람에게만 하는 이야기라고 생각하고.
'명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인이 그 경지에 도달해본적도 없으면서 '입대지 말자' (0) | 2023.05.24 |
---|---|
막상 내가 결혼해보니 아쉬웠던 한국 결혼식 문화 (0) | 2023.05.16 |
사회생활 잘하기 '똑게'가 되자 (0) | 2022.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