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한 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옛 조상님들의 삶의 지혜가 담긴 속담들은 정말 틀린 말이 하나 없다.
같은 말을 해도 사람을 기분나쁘게 하는 재주가 있는 사람이 있고
부드럽게 돌려서 말해 말을 듣는 이로 하여금 배려를 받았다고 느끼게 하는 사람이 있다.
예를 들어 이런 건데,
발화자가 어떤 사건에 대해 "절대 그럴 수 없다."고 단언해서 말했을 때,
A : 일반적으로 그렇긴 하더라. 근데 비슷한거 본적은 있어. 신기하더라.
B : 아니거든? 내가 본 적 있거든? 있으면 어떻게 할건데?
물론 애초에 발화자의 말이 개소리였을 때 내가 그 개소리를 개소리로 받아치는게 문제냐?라고 묻는다면
그거에 대해서는 솔직히 "그렇다"라고 대답하긴 어렵긴 하다.
그래도 사회생활에서 특히, 그 개소리를 하는 사람이 상사나 거래처처럼 나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이라도 더 생각해보고 부드럽게 말하는 기술은 참 필요한 것 같다.
최근에 겪은 일인데 같은 취미를 공유하면서 친해진 분이 있었다.
그분과 나는 나이대가 같고 같은 취미를 하면서 빠르게 친해졌는데,
비슷한 기간에 우리는 다이어트를 했었다.
나는 병원에서 권고한 다이어트였고 그 분은 미용을 목적으로 한 다이어트였는데,
그래서 방향성의 차이가 있어서 나는 운동을 통해 근육을 키우고 몸을 만드려고 했고
그 분은 시술이나 마사지를 통해서 라인을 정리하려고 하셨다.
그 분이 나에게 "눈바디가 좋으려면 근육을 생각보다 많이 만들어야 하더라고요."라고 말한게 나는 끝끝내 참 거슬렸다.
그 분이 스스로가 나보다 더 '윗 사람'이라고 생각한 듯한 말투를 평소에 많이 사용했는데,
이 것도 그거의 연장선처럼 느껴져서 더 거부감있게 받아들였을 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본인 스스로가 운동을 통해서 그렇게 노력을 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만이 할 수 있는 발언을,
그렇게까지 해본적 없는 사람이 남이 말한걸 듣고 본인의 경험처럼 말한 화법을 쓴 것이
하루에 세시간씩 운동하면서 1년을 고생한 나에게 너무 쉽게 던졌다고 느꼈다.
사실 이런 비슷한 일들은 살면서 수없이 경험하고 나도 실수해 본 일이 많다.
전에 같은 회사에서 있었던 일인데, 나는 내 전공과 전혀 관련 없는 일을 하면서 살고 있다.
그런데 그 여직원은 본인이 관련학과를 나왔다는 것을 굉장히 자랑스럽게 여겼는데,
나는 그 여직원이 본인이 관련학과와 관련 있는 직장에서 일하지만 관련없는 부서에서 일하는게 조금 아깝다고 생각해서
"전공자인데 조금 관련 없는 부서에서 일하는게 아쉽다"라는 취지의 말을 한 적이 있다.
거기서 어떤 판단을 한건지 모르겠지만 그 뒤로 나에게 '본인이 4년제 대학을 나왔다'는 말을 참 자주했는데,
10살 가까이 차이나는 그 어린 아이가 은연중에 나를 무시하고 있다는 게 느껴졌지만
비슷한 수준의 사람이 되고 싶지 않아서 네가 너희 집에서 편도 3시간 거리에 있는 지방의 이름 모를 학교를 나오는 동안
나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름들으면 다 아는 4년제 대학을 나왔다는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
(만약 내가 인서울권의 "진짜 너 공부 잘했구나" 소리를 들을만한 대학을 나왔으면 말했을 것 같다 ㅋㅋㅋㅋ)
내가 본 단편을 가지고 상대방의 모든 능력과 배경, 경험을 확인할 방법이 없기에
말은 항상 신중하게 해야한다.
유튜브에 그런 영상도 있지 않는가.
가만히 지하철을 기다리고 있는 시각장애인이 불쌍하다고
거듭 거절하는데도 "천원"을 쥐어주고 갔는데 그 시각장애인이 가방에서 샤넬 지갑을 꺼내서 천원을 집어 넣는 영상.
'명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상 내가 결혼해보니 아쉬웠던 한국 결혼식 문화 (0) | 2023.05.16 |
---|---|
사회생활 잘하기 '똑게'가 되자 (0) | 2022.08.17 |
예민하고 내성적인 사람을 위한 하루 위로, 일기 쓰기 (0) | 2021.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