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 문해력 수업
글쓴이 : 전병규
독서시기 : 2023년 9월
학문 어휘를 얼마나 잘 배우고 많이 아느냐가 학업 성적과 직결됩니다. 왜냐하면 어휘가 바로 개념이자 지식이거든요. 쉽게 말해, 공부란 학문 어휘를 수집하고 이해하는 일입니다. 물리학은 운동, 속력, 속도, 가속도, 질량, 장력 등의 어휘와 이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고, 세계사는 문명, 제국, 헬레니즘, 봉건제, 종교개혁, 왕정 등의 어휘와 그 사례를 아는 일입니다.
1990년 국제교육평가협회에서는 32개국의 10~15세 아이 21만명의 읽기 성적과 읽기 교육의 시작 시기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습니다. 그 결과 읽기 성적 상위 10개 나라 중 4개 나라의 읽기 교육은 8세에야 겨우 시작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중략)
읽기에서 문제를 겪는 아이들은 글자 교육을 늦게 시작하는 경우보다 너무 일찍 시작하는 경우의 아이들입니다. 능숙하게 읽고 쓰는 4~5세의 아이들은 영재처럼 보이지만 9~10세가 되면 문제를 보이기 쉽습니다.
글을 읽고 의미를 파악하는 힘을 기르기 위해서는 우선 넓고 깊은 어휘망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글은 어휘로 구성됩니다. 어휘가 모여 문장이 되고, 문장이 모여 다시 글이 됩니다. 따라서 글에서 의미를 담는 최소의 단위인 어휘를 많이 모른다는 것, 즉 어휘망이 작다는 것은 어부에게 그물망이 작은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가정 내 보유한 책의 수와 아이의 인지 능력 사이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호주 국립대와 미국 네바다대 공동 연구진은 최근 16만 명의 25~65세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어린 시절 가정에 있던 책의 수가 아이의 교육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 지었습니다. 아이가 책을 읽지 않아도 책이 많이 있었다는 기억 자체가 인지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습니다. (중략) 아이의 인지 능력에 영향을 미친 요소는 단순히 집에 보유한 책의 수가 아닌 많은 책을 보유하고 있는 부모의 영향이라고 해야하지 않을까요? 책에 대한 부모의 관심, 더 수준 높은 어휘의 사용, 책을 읽는 모습, 책에 관한 대화 같은 인지적 문화가 결과에 영향을 미쳤으리라 판단합니다.
한줄평
어린 자녀를 둔 부모님들이 한 번쯤은 읽어보기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고 자녀를 양육하고 있지 않은 성인도 '문해력'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거리를 많이 던진다.